성인 영어 학습 행태 조사

현재 영어를 공부하고 있는  20~30대 대학(원)생, 직장인  536명을 대상으로 성인 영어 학습 행태를 조사했습니다. 채널의 다각화로 변화하고 있는 영어 학습 행태를 파악하고, 어학공부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및 현재 수강 중인 어학원을 선택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 등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1. 학습언어

Image title

대한민국 20~30대 대학(원)생, 직장인 중 현재 외국어 학습을 하는 사람은 75.8%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원)생은 직장인보다 외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비율이 20%가량 더 높았다.

가장 많이 공부하는 언어는 영어 (약 70%)였고, 일본어 (24%), 중국어(14.8%), 스페인어(4.2%) 순으로 학습자가 많았다.

많은 이들이 취업/이직/승진을 위해 외국어를 공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학업/연구, 취미/재미, 여행이 뒤를 이었다. 언어별로 공부하는 목적이 조금씩 달랐는데, 일본어와 스페인어의 경우, 취미/재미, 여행을 위해 공부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중국어는 비즈니스(업무)를 위한 목적이 많았다. 

 

2. 영어 학습 행태

2-1. 학습 채널 및 방법

Image title

외국어 공부의 수요가 늘어난 만큼 학습 방식 역시 다양해졌다. 가장 많은 이들이 공부하는 영어의 학습 채널을 확인해보니 어학원의 온라인 강의 수강(53.2%)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어학원 오프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비율(40.7%)과 모바일 활용 학습 비율(39.0%)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교적 활동시간이 자유로운 대학(원)생은 주로 어학원의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했고, 활동시간에 제약이 있는 직장인의 경우 모바일 앱을 이용한 학습률이 높은 편이었다.

온/오프라인 어학원의 경우 주변 지인의 소개가 학원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2.8%) 인터넷 배너 광고와 TV 광고도 유효했다. 모바일 영어학습의 경우는, 앱스토어나 앱 마켓(39.2%)을 통해 해당 앱/콘텐츠를 접하게 되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지인 추천’(33.5%), ‘블로그 및 카페 후기’(27.3%)를 보고 알게 되었다는 응답도 있었다. 

2-2. 지출 비용

Image title

전체 평균 금액으로 보면 11.7만 원 정도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대학(원)생의 경우 12.6만 원, 직장인의 경우 11.0만 원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어 직장인보다 대학(원)생의 영어 학습 지출 비용이 약간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향후 영어 학습을 위한 지출이 현재와 유사할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이 44.4%로 가장 많았고, 현재 보다 더 증가할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은 37.3%, 현재 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답변한 사람은 18.3%로 나타나, 영어학습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측된다.

모바일을 통한 영어학습자 중 앱/컨텐츠를 유료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29.7%였다. 이들은 기간제 비용결제(41.9%)를 가장 많이 이용했고, 서비스 이용 시 마다 결제하는 일회성 결제(38.7%)도 적지 않았다. 정기결제는 12.9% 에 불과했다.

2-3. 온/오프라인 어학원 연계/동시 등록

Image title

원하는 시간에 수강이 가능한 온라인 어학강의 시장이 커짐에 따라 오프라인 어학원에서도, 온라인 수업으로 결석한 강의를 보충해주거나 온/오프라인 수업을 연계하여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영어 학습자 중 온/오프라인 어학원 수업을 모두 수강하는 이는 전체 응답자의 17.5%였으며, 오프라인 학원 수강자 중 43.1%가 온라인 강의를, 온라인 강의 수강자 중 33.0%가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이들이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이유로는 온라인의 한계를 오프라인 수업에서 보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42.6%)과 혼자 공부할 때의 나태함을 벗어날 수 있다는 점(41.5%)이 가장 큰 호응을 얻었다. 오프라인 수업에서 놓쳤던 부분을 온라인에서 다시 복습할 수 있다(37.2%)는 점 역시 장점으로 꼽혔다.

 

2-4. 수업에 대한 만족도

Image title

모바일로 영어를 학습하고 있는 사람들의 45.0%는 현재 수업에 만족하고 있었다.  상대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들의 만족도가, 대학(원)생보다는 직장인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온/오프라인 어학원 수업 수강자들 역시 45.0%가 현재 다니고 있는 어학원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바일 학습과는 반대로 직장인 보다는 대학(원)생들의 만족도가 직장인 대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부분이 흥미로웠다.

등록한 어학원에 만족하는 이유로는 강의 내용이 좋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56.0%로 가장 많았고, 합리적인 수강료, 수준별 클래스 구성 등이 뒤를 이었다. 만족에 대한 이유는 직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대학(원)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강생의 편의를 위해 노력하는 점에 대해 만족했고 수강료에 대한 만족은 낮았다. 직장인의 경우 수강생 편의를 위해 노력한다는 부분은 낮게 나타난 반면, 강사진이 유명해서, 수강료가 합리적이어서라는 이유가 대학(원)생 대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불만족 이유는 합리적이지 않은 수강료가 29.8%로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강의 내용, 다양한 혜택 미제공 등이 언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