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데이터 |
- 오픈서베이 모바일 패널 중 20~60대 1,000명 대상
- 노인에 대한 인식과 노후,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노인 문제에 대한 조사
- 상세 내용
오픈리포트 | 20~60대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 노인과 노후에 관한 인식 조사 > 중 흥미로운 부분을 요약해 전달해드립니다.
1. 60대, 아직 젊다! 70세부터 노인이라 불러다오
-
- 노인이라 부르기에 적절한 연령은 ’70~74세’부터라는 응답이 절반(47.8%) 가까이 차지했다. ’75~79세’라는 응답은 10.5%, 80대 이상은 4.3%로 60대를 노인이라 생각하는 이는 36.5%에 그쳤다.
2. 우리나라의 노인 복지 수준은 ‘불만족’
-
-
- 우리나라의 노인 복지 수준에 대해 60.9%가 불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만족스럽다는 의견은 4.5%에 그쳤다.
- 노후에 겪는게 되는 가장 큰 문제는 ‘생활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26.5%) ‘외로움 문제'(23.5%)와 ‘가족불화/부양문제'(22.6%)가 뒤를 이었다.
-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개선이 시급한 부분은’ 병원비 부담을 줄이는 보험제도 개선‘(40.3%), ‘연금제도 개선'(36.7%), ‘노후 설계 프로그램 교육'(32.9%) 순이었다.
- 한편, 노인 한 명이 한 달을 살기에 적절한 생활비는 ’70만원 이상’이 39.4%로 가장 많았다.. 20대가 생각하는 노인 한 명의 한 달 적정 생활비는 타 연령대에 비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
3. 우리 사회에서 노인은 어떤 사람인가?
-
- 우리 사회에서 노인은 얼마나 존경 받는가 >> 존경 받는다(6.4%) – 보통이다(48.7%) – 존경 받지 못한다(44.9%)
- 노인은 연륜과 지혜가 쌓인 사람이다 >> 그렇다(43.2%) – 보통이다(37.9%) – 아니다(18.9%)
- 노인은 오늘날 산업발전에 이바지 한 사람이다 >> 그렇다(73.2%) – 보통이다(20.3%) – 그렇지 않다 (6.5%)
- 노인은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사람이다 >> 그렇다(64.5%) – 보통이다(29.9%) – 그렇지 않다 (5.6%)
- 노인은 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사람이다 >> 그렇다(82.9%) 보통이다(14.4%) 그렇지 않다 (2.7%)
- 노인은 가정에서 소외된 사람이다 >> 그렇다(31.0%) 보통이다(38.0%) 그렇지 않다 (31.0%)
4. 노인들의 아지트, 탑골공원과 종묘공원
- 다수의 사람들이 탑골공원을 ‘노인들만의 아지트’라고 생각하고 있었다.(62.7%)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9.3%)이라는 의견과 ‘낙후된 지역으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7.6%)이 뒤를 이었다. ‘노숙자들이 많아 더럽거나 위험하다’는 부정적인 의견(12.4%) 또한 있었다.
- 종로 일대에서 활동하는 ‘박카스 아줌마’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48.8%였고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인지율 또한 높았다. 20대 중에서는 들어본 경험이 없는 사람도 절반 가까이(48.9%) 되었다. ‘박카스 아줌마’에 대해 ‘노년 남성의 성문제 해결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등의 대안을 정부가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49.0% 차지했고, 법적인 처벌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23.2% 나왔다.
-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대상 축소 문제에 대해서는 58.1%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경제적 사정이 어려운 일부 노인들에게만 무임승차 혜택을 줘야한다’는 의견이 37.3%, ‘현행대로 65세 이상이라면 누구에게나 무임승차 혜택을 줘야한다’는 의견이 33%를 차지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