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서베이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1 출시

이런 점이 궁금하셨다면 리포트를 읽어보세요
- 미국 모바일 동영상에 월평균 40.8달러 소비, 어떤 서비스 이용 많나 (p.26)
- K-pop 전성시대, 최근 3개월 내 이용 경험 있는 미국인 얼마나 될까 (p.29)
- 유튜브·넷플릭스 외 미국인이 K-콘텐츠 소비하는 주요 서비스 뭘까 (p.32)
- 미국인 K-콘텐츠 이용 경험, 한국 제품 구매 의향 높이는데 영향 줄까 (p.37)
오픈서베이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출간
BTS의 빌보드 뮤직 어워드 노미네이트 소식이 놀랍지 않을 정도로 미국 시장의 케이팝 열풍이 뜨겁습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킹덤 등 한국 드라마가 글로벌 시청자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네이버웹툰은 북미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본사를 LA로 옮겼을 정도죠. 이제 영상·음악·만화 등 모든 방면에서 K-콘텐츠는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비즈니스를 이어가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오픈서베이는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는 콘텐츠 기업을 위한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1을 무료 출시했습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은 여전히 모바일보다 TV에서 주로 동영상을 보는 반면, 모바일 영상 시청에 투자하는 비용은 한국 대비 2배 이상 높습니다(각 월평균 1.4만 원, 40.8 달러). 반면, 음악 콘텐츠에 대한 월정액 구독 경험은 한국 대비 저조하며, 오디오·동영상 서비스를 선택하는 주된 이유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내 K-콘텐츠 관련 인식은 어떨까요?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내 K-콘텐츠 트렌드 중심에는 소셜미디어와 넷플릭스·유튜브 등 글로벌 서비스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K-콘텐츠를 처음 접하는 계기로 소셜미디어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41.8%), 넷플릭스·유튜브·스포티파이 등을 통해 K-콘텐츠를 소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콘텐츠 기업의 미국 진출이 더욱 본격화된다면 미국 내 K-콘텐츠 관련 인식 및 행태는 또 어떻게 달라질지 지켜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더 알아보기
이외에도 <오픈서베이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는 미국 소비자의 동영상·오디오·만화 등 콘텐츠 이용 행태, K-pop·K-drama·K-comics 등 K-콘텐츠 소비 행태, 한국산 제품 구매 경험 및 향후 구매 의향 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지사나 해외 파트너사에 공유할 수 있도록 영문 버전도 함께 제공합니다.
전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버튼을 눌러서 리포트 전문을 무료로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조사 내용: 미국 시장의 콘텐츠 트렌드 파악 및 한국 시장과의 비교
조사 대상: 미국: 15~59세 남녀 2,000명 / 한국: 15~59세 남녀 1,000명
조사 기간: 미국: 2021.03.12. ~ 03.18. / 한국: 2021.03.12. ~ 03.16.
목차
Part 1. 조사 개요
- 조사 목적 및 설계
- 응답자 특성
Part 2. 주요 조사 결과
- 전반적인 콘텐츠 이용 현황
- 오디오 콘텐츠 이용 행태
- 동영상 콘텐츠 이용 행태
- K-콘텐츠 (Korean contents) 이용 행태
- 한류 관심 현황
오픈서베이 콘텐츠 마케팅 팀 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