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3

이런 점이 궁금하셨다면 리포트를 읽어보세요
- 이용률 오른 티빙·쿠팡플레이의 2위 경쟁, 2023년 OTT 서비스 순위 (p.17)
- OTT 독점 콘텐츠 궁금할 때 새로 가입한다 vs. 유튜브 요약본 본다, 비중 비교 (p.31)
- ‘길복순’ ‘지구오락실2’ 등 OTT 서비스별 최근 재미있게 본 콘텐츠는? (p. 41, 42)
‘유튜브 요약본’으로 영화 보는 시대, OTT 콘텐츠 경쟁력은?
OTT 서비스 구독을 해지한 적 있나요? 다시 가입했다면 이유가 무엇인가요? 소비자들은 구독료보다도 볼 만한 콘텐츠가 있느냐에 달렸다고 답합니다. 그래서인지, 일각에서는 OTT 서비스의 생존은 독점 콘텐츠의 경쟁력에 달렸다고 말합니다. 티빙은 올해 초 연내 오리지널 콘텐츠를 무려 30개 제작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는 OTT 콘텐츠를 유튜브·SNS 등 다양한 채널에서 동시에 접합니다. 이런 파생 콘텐츠는 신규 가입을 유도할 수 있지만, 호기심을 해소해 버리기도 합니다. 반대로 OTT 서비스에서 시청하기를 더 선호하는 장르도 있죠. 이처럼 OTT 서비스 이용 행태는 다른 채널과 함께 살펴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에서 주요 OTT 서비스별 이용 행태와 소비자의 평가를 함께 살펴보세요.
조사 내용: 전반적인 OTT 서비스 이용 행태 및 주요 서비스별 세부 이용 행태 파악
조사 대상: 1차: 전국 만 15~59세 남녀 3,000명 / 2차: OTT 서비스를 현재 1개 이상 이용하고 있는 자 600명 / 3차: 주요 OTT 서비스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자 1,500명(넷플릭스·티빙·쿠팡플레이·웨이브·디즈니플러스 각 300명)
조사 기간: 2023년 5월 17일 ~ 5월 22일
목차
Part 1. 조사개요
- 조사 목적
- 조사 설계
- 응답자 특성
Part 2. 트렌드 요약
Part 3. 주요 조사 결과
- OTT 서비스 브랜드 인식 및 이용 행태
- 전반적인 OTT 서비스 이용 행태
- 주요 OTT 서비스별 세부 이용행태
오픈서베이 콘텐츠 마케팅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