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SPA 트렌드 리포트 2016

WN_SPA_2016_01

 

옷, 눈으로 입어보고 모바일로 산다? 

 

모델이 옷을 착용한 사진을 보고 모바일로 옷을 사는 시대이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오프라인에서 의류를 구매합니다. 옷을 직접 입어보는 건 여전히 구매 결정의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오픈서베이가 2016년 소비자들의 의류 구입 형태를 파악해보았습니다. 또한 SPA 브랜드에 대한 인식과 브랜드 별 인지도 및 선호도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상세한 내용이 궁금하실 경우 전체 리포트를 다운로드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조사 대상 | 최근 3개월 내 의류를 구입한 경험이 있는 20~59세 남녀 500명

조사일 |  2016년 4월 27일

 

 

의류 구입 형태

WN_SPA_2016_02

과반 이상이 ‘월 1회 이상 의류를 구입’하며(57.4%), 특히 여성 및 20/30대에서 구입 빈도가 타 집단 대비 높습니다. 전체의 50.2%는 매 월 의류 구매에 ’10만원 이상’을 지출합니다. 월 평균 의류 구입 비용이 높은 집단은 30대 이상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평소 의류 정보탐색을 하는 경로는 ‘온라인 쇼핑몰’ > ‘매장 직접 착용’ > ‘친구 또는 주변 사람’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 및 20/30대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자주 탐색합니다. 구매 시 ‘매장 직접 착용’이나, ‘온라인 쇼핑몰’의 영향력도 큰 것으로 보입니다.

 

WN_SPA_2016_03

소비자의 53%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를 구입합니다. 오프라인 구매 채널은 ‘단독 매장’과 ‘백화점’이 유사한 수준이며, ‘단독매장’에서는 여성 및 20대, 50대가 타 집단 대비 많이 구매합니다. 온라인 채널에서는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개인 온라인 쇼핑몰’이 매우 유사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집단 별로는 남성이 ‘오픈마켓’, ‘소셜커머스’를, 여성은 상대적으로 ‘개인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SPA 브랜드 인식 및 이용행태

WN_SPA_2016_04

[SPA 구입경험&선호브랜드 있는 응답자 대상]

주요 SPA 브랜드의 인지도, 구입경험, 선호도를 확인한 결과 ‘유니클로’가 모든 속성에서 가장 높은 브랜드 파워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지오다노’, ‘자라’, ‘H&M’, ‘스파오’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WN_SPA_2016_05

[SPA 구입경험&선호브랜드 있는 응답자 대상]

SPA 브랜드 구매 시 고려하는 점을 확인한 결과, SPA 전반적 이미지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속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리포트 참고) SPA 브랜드에서 구매 시 남성은 ‘디자인’ 및 ‘체형과의 fit’을 상대적으로 많이 고려하는 반면, 여성의 경우 ‘트렌디’한 제품을 고려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주요 SPA 브랜드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유니클로 및 지오다노의 경우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다’ 에 높은 동의를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동의도가 낮은 수준)  긍정 비율이 60% 이상인 이미지는 ‘자라'(트렌디/브랜드이미지가 좋은)에서만 나타나고 있어, 타 브랜드의 경우 특별히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미지가 크지 않습니다.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