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서울은 뭐가 그렇게 다를까? 요즘 백화점 특징 살펴보기

더현대서울은 뭐가 그렇게 다를까? 요즘 백화점 특징 살펴보기

요즘 백화점들은 쇼핑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그중에서도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은 유명 작가와의 콜라보 전시, 팝업스토어 등으로 매번 화제를 모았습니다. 전체 면적의 절반을 조경 및 휴식 공간으로 꾸민 점도 소비자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최근 백화점 업계는 오프라인 매장 전략에 집중한다고 합니다. 언론은 보복 소비의 효과가 점점 사그라들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얼마나 다채로운 공간 경험을 제공하느냐가 백화점의 다음 생존 전략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도 평합니다.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백화점 이용 행태와 브랜드별 특징을 살펴봅니다.

쇼핑부터 엔터테인먼트까지, 복합 공간이 된 요즘 백화점

여러분은 어떤 때에 백화점에 가시나요? 아마 쇼핑 말고도 영화를 보거나 식사를 위해 방문한 적이 있을 겁니다. 최근에는 팝업스토어나 기획 전시를 보러 백화점을 찾았을 수도 있겠습니다. 이처럼 백화점은 기본적으로 쇼핑 공간이지만, 점점 복합 문화 공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실제로 백화점에서 쇼핑만 하는 소비자는 거의 없습니다. 전국 20~59세 남녀 소비자의 0.8%에 불과하죠. 대신 소비자는 백화점 내 식당가·카페에서 식사하기도 하고, 영화관·갤러리 등 엔터테인먼트 공간도 활발히 이용하고 있습니다(각 87.1%, 65.1%). 백화점 내 정원이나 팝업스토어를 방문하는 것도 꽤 익숙한 일입니다(각 59.6%, 44.9%).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28)

쇼핑 외 경험은 쇼핑 빈도를 높이는 촉진제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외식 목적으로 백화점을 방문했다가도 10번 중 6.1번 정도는 물건을 구매합니다. 문화센터를 이용하는 소비자도 10번 방문할 때 약 4.5번은 추가 소비를 하죠. 백화점 내에서 경험이 연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소비자에게 백화점을 찾을 동기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29, 30)

편한 롯데 vs. 고급스러운 신세계, 백화점 브랜드 비교

백화점 브랜드 가운데 주 이용률 1위는 롯데백화점이 차지했습니다(35.3%).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 그 뒤를 따릅니다(25.1%, 19.9%). 롯데백화점은 전국 32개의 가장 많은 점포를 보유한 만큼 생활권 내에 가장 많이 위치한 백화점 브랜드로 꼽히기도 했습니다(75.2%).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16)

롯데백화점의 접근성은 소비자를 매장으로 이끄는 가장 큰 요인이기도 합니다. 롯데백화점을 주로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그 이유를 묻자, ‘위치가 방문하기 편리하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온 겁니다(1~3순위, 68.4%). 이와 반대로 신세계백화점은 접근성을 방문 이유로 꼽은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적고(1~3순위, 53.4%), 대신 브랜드와 매장의 다양성이 다른 브랜드보다 눈에 띄게 많이 선택되었습니다(1~3순위, 43.3%). 현대백화점은 타 백화점 대비 휴식 공간 때문에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은 점이 특징입니다(13.4%).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19)

위 데이터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
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 보세요. (클릭)

또 각 브랜드는 방문 이유만큼이나 서로 다른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먼저 롯데백화점은 대중적이고 친근하며 편리한 백화점으로 인식됩니다(각 49.0%, 52.3%, 31.4%). 생활권 내 많으며 위치가 방문하기 좋은 특징을 반영하는 걸까요?

이와 달리 신세계백화점의 가장 주요한 이미지는 고급스러움입니다(52.2%). 이외에도 대중적인, 쾌적한, 트렌디한, 신뢰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이미지를 골고루 확보하고 있죠(각 37.0%, 36.7%, , 26.8%, 30.0%). 한편 현대백화점은 상대적으로 친근한 이미지는 덜하지만(26.0%), 대신 신뢰할 수 있고 트렌디한/힙한 백화점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각 27.5%, 26.4%).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33)

‘더현대서울’은 뭐가 그렇게 다를까?

최근 가장 화제였던 백화점을 고르라면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해당 점포는 2022년 매출 9,500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40% 이상 성장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동력은 팝업스토어, 기획 전시 등 다양한 이벤트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실제 소비자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먼저 흥미로운 점은 소비자가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에 방문하는 목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른 주요 점포와 비교했을 때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방문했다는 응답이 특히 적은 편입니다(39.4%). 대신 구경이나 휴식 공간 이용, 팝업스토어 방문 등 쇼핑 외의 경험을 하기 위해 백화점을 찾은 소비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죠(각 59.6%, 28.8%, 25.0%).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37)

최근 현대백화점은 공간 디자인, 팝업스토어 등 더현대서울에서 시도했던 전략을 대구, 광주 등 수도권 외 점포에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방문 경험에 관한 주관식 응답에서도 소비자가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의 공간과 다양한 행사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금의 화제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 지켜봐도 좋겠습니다.

  • 공간이 넓고 탁 트여서 개방감도 있고, 힙한 문화 공간이 많아서 좋았어요(29세 여성, 서울).
  • 이색적인 팝업 행사가 많은 것 같아요. 아이와 어른 모두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많아 새로웠어요(35세 여성, 대구).
오픈서베이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p. 35)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 더 알아보기

이외에도 <백화점 트렌드 리포트 2023>은 백화점 내 방문 매장 및 결제 방식, 장보기·외식·문화센터 이용 등 전반적인 백화점 이용 행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체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버튼을 눌러 리포트 전문을 받아보세요.

또한, 백화점 브랜드별 주 이용자의 방문 이유를 더욱 자세히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눌러 웹 결과 분석 페이지에 접속해 보세요.

오픈서베이 콘텐츠 마케팅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