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트렌드 리포트 2020

‘아름다움’의 기준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진하고 화려한 메이크업을 아름답게 여기는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이제 여성들은 ‘꾸밈’의 필요에 문제를 제기하고, 내 피부 고민에 맞는 자연스러운 화장을 선호합니다. 그래서일까요? 2019년의 2040 여성들은 화장품을 구매할 때 피부 고민에 맞는 제품, 화장품 성분, 발림성·흡수력 등 사용감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각 57.8%, 44.4%, 42.5%)
특히,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도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24세 여성 응답자는 “화해 앱을 알게 된 이후로 성분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요”라고 합니다. 실제로 2040 여성 10명 중 7명은 ‘화장품 구매 시 성분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4명은 ‘화장품 구매 전 성분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각 70.0%, 42.5%)
온라인, 중소 브랜드의 강세가 이어집니다
원 브랜드샵을 통한 뷰티 제품 구매율은 지난해에 이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드럭스토어와 온라인 채널을 통한 구매율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2030 여성을 중심으로 사용해본 적 없는 뷰티 제품도 온라인 채널을 통해 구매해봤다는 응답이 늘었습니다. (39.3%, +2.3%p)
뷰티 제품의 온라인 채널 성장을 이야기할 때, 중소 브랜드의 강세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온라인 채널에서 중소기업 뷰티 제품을 구매해본 적 있다는 비율은 지난 3년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51.3% ▶ 54.2% ▶ 59.9%) 이러한 트렌드는 오히려 연령대가 낮을수록 두드러진다는 점도 인상적입니다. (20대: 69.0%, 30대: 60.3%, 40대: 49.8%)
이런 점이 궁금하셨다면 리포트를 읽어보세요
<뷰티 트렌드 리포트 2020>는 위 내용뿐만 아니라 20~40대 여성의 기초·색조·기타 뷰티 제품 이용 행태, 시코르와 세포라의 만족도 및 방문율, 뷰티 정보 탐색 채널에 대한 인식 및 이용 행태를 담고 있습니다.
- 로션 덜 쓰고 크림·에센스 더 쓴다던데, 스킨케어 트렌드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p.8)
- 새롭게 등장한 뷰티 편집숍 시코르와 세포라, 만족도와 방문율은 어떻게 될까? (p.25)
- 뷰티 기기 신제품 컨셉을 기획 중인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제품은 무엇일까? (p.16)
- 올리브영 입점을 고려 중인데, 2030 여성은 올리브영을 얼마나 자주 방문할까? (p.24)
조사 내용: 국내 여성 뷰티 트렌드 분석
조사 대상: 국내 거주하는 20~40대 여성 1,500명
조사 기간: 2020.01.03.
뷰티 트렌드 리포트 목차
Part 1. 조사개요
- 조사 목적 및 설계
- 응답자 특성
Part 2. 여성 뷰티 제품 트렌드
- 기초 제품 트렌드
- 색조 제품 트렌드
- 기타 제품 트렌드
Part 3. 여성 뷰티 제품 구매 행태
- 뷰티 제품 구매 트렌드
- 뷰티 제품 정보 탐색 트렌드
오픈서베이 콘텐츠 마케팅 팀 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