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이 어려울수록 소비자에 대한 촉을 세워야 합니다. 지난해 말부터 요청이 끊이질 않았던
<뷰티 트렌드 리포트 2018>을 전해드립니다.
자연스럽고 촉촉한 피부 표현은 여전한 트렌드입니다. 화장을 지운 후에도 촉촉함이 유지된다는 클렌징 워터와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한 쿠션 제품의 사용이 증가했습니다. 전년 대비 마스크 / 팩과 민감성 라인의 사용이 늘어난 것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자 눈썹 대신 우아한 아치형 눈썹이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매년 조금씩 증가해온 아이브로우에 대한 관심이 지난 한 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오픈서베이의 뷰티 트렌드 리포트를 통해 2040여성의 뷰티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 조사 내용: 뷰티 트렌드 분석
- 조사 대상: 20-40대 여성 1,500명
- 조사 기간: 2018. 1. 8. ~ 1. 9
기초제품 트렌드
하루를 시작하는 뷰티 제품인 클렌징 제품을 살펴보면, 아침은 폼으로 가볍게 클렌징, 저녁에는 클렌징 오일, 클렌징 폼 등으로 2개 이상의 제품으로 꼼꼼하게 이중 세안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클렌징 폼을 아침(69.2%) · 저녁(81.6%)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클렌징 워터의 사용이 전년과 비교해 증가했다(아침 3.0%p, 저녁 1.5%p 증가). 반면, 클렌징 바/클렌징 비누의 사용은 감소했다(아침 3.3%p, 저녁 3.1%p 감소).
2040여성이 사용하는 기초 스킨케어는 스킨/토너(92.0%), 크림(80.9%), 로션/에멀전(78.1%), 에센스(70.9%) 등 평균 4.6개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전년 대비 마스크/팩의 사용이 증가했다(6.9%p 증가).
기초 스킨케어 라인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수분 라인(81.0%)을 기본으로 평균 2.5개의 라인을 사용했다.
타 라인과 비교하여 민감성 라인(20.9%)의 사용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5.6%p 증가).
색조 제품 트렌드
색조 제품 트렌드를 확인해보면, 평균 3.2개의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쿠션 사용이 전년 대비 증가했고(4.4%p 증가), 비비크림 사용이 많이 감소했다(6.5%p 감소).
2040여성이 중점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피부는 기미/잡티가 보이지 않는 피부(38.2%), 자연스러운 피부(38.1%), 촉촉해 보이는 피부(30.7%)를 많이 꼽았다.
표현 피부법은 전년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여전히 깨끗하고, 자연스럽고, 촉촉한 피부 표현법이 소비자에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색조 메이크업 제품은 평균 3.6개를 사용하며 립 제품을 기본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아이브로우(눈썹)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이 작년보다 증가했다(2.9%p 증가).
뷰티 제품 구매 채널
뷰티 제품을 구매하는 온·오프라인 채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프라인 채널에서는 드럭스토어와 원 브랜드샵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스킨/로션과 색조 메이크업 제품의 경우 타 제품 대비 드럭스토어와 원브랜드샵 이외인 백화점, 면세점, 멀티 브랜드 샵 등에서도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온라인 채널은 오픈마켓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스킨/로션의 경우 소셜커머스(25.5%)와, 종합쇼핑몰(21.3%)의 이용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