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서비스 트렌드 리포트 2023

이런 점이 궁금하셨다면 리포트를 읽어보세요
- 외식 빈도 회복,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이용률은 얼마나 감소했을까? (p. 13)
- 배달 이용 감소 원인 1위 ‘높은 배달비’, 주문 포기하는 배달비 수준 얼마일까? (p. 29)
- 배달앱 선물하기·퀵커머스 전망은? 향후 이용 의향으로 미리보기 (p. 45~47)
엔데믹·고물가·높은 배달비까지, 배달 시장 전성시대 막 내릴까
코로나 기간에 폭발적이었던 배달앱의 성장세가 꺾였습니다. 지난해 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 증가율은 1.4%로, 2020년 78.1%, 2021년 48.1%였던 것에 비해 현저히 낮게 집계됐죠(통계청, 2022년 온라인쇼핑 동향). 게다가 월별 거래액은 지난 7월 이후 8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성장 둔화의 원인으로는 엔데믹 이후 증가한 외식 빈도와 높은 배달비가 자주 언급됩니다. 지난해부터 배달비 이슈는 꾸준히 이어져 왔지만, 올해는 물가 상승과 겹치며 소비자의 부담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겁니다. 리포트에서 전년과 달라진 소비자의 배달 이용 경험과 배달비 관련 인식을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조사 내용: 전반적인 외식 경험 및 배달/포장 서비스 세부 이용 행태 파악
조사 대상: 1차: 전국 만 20~59세 남녀 2,000명 / 2차: 평소 배달 또는 포장을 앱/웹 서비스로 이용하는 자 1,000명 / 3차: 최근 3개월 내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이용 경험자 600명(브랜드별 200명)
조사 기간: 2023년 3월 26일 ~ 3월 27일
목차
Part 1. 조사개요
- 조사 목적
- 조사 설계
- 응답자 특성
Part 2. 트렌드 요약
Part 3. 주요 조사 결과
- 전반적인 외식 이용 행태
1) 배달 서비스 이용 행태
2) 포장 서비스 이용 행태
3) 기타 - 배달/포장 주문 시 앱/웹 이용 행태
- 주요 앱/웹 세부 이용 행태
오픈서베이 콘텐츠 마케팅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