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오픈서베이 주요 업데이트 미리보기: 피드백, 오픈애널리틱스 포함

2022년 한 해도 쉼 없이 달려왔습니다. 모든 것이 오픈서베이와 피드백, 오픈애널리틱스를 이용해 주신 고객들 덕분입니다. 22년 오픈서베이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숫자들과 또 2023년 계속해서 업데이트될 기능을 공개합니다.
숫자로 돌아보는 2022년 오픈서베이

2022년 한 해 동안 오픈서베이로 수집한 설문 응답 수는 총 10,792,200여 개에 달합니다. 매일 약 3만 개의 응답 데이터를 1년 내내 수집해온 셈입니다. 오픈서베이를 통해 소비자와 사용자의 목소리를 듣고 데이터로 분석하는 기업 역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UX 리서치와 정성조사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정량조사만으로는 충분히 알 수 없는 소비자의 마음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니즈가 커지고 있고, 아직 사용자에 대해 상세히 알지 못하는 산업군에서 소비자 데이터를 보기 시작했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FGD, IDI, UT를 포함하여 올해 오픈서베이에서 운영되는 정성조사에 참여한 패널 수는 2,550명을 넘었으며, 미션형 조사에 참여한 패널 수는 68,800여 명에 이릅니다.
오픈서베이가 지난 10월 출시한 설문조사 기반 경험 관리 플랫폼인 Feedback.io(이하 피드백)은 벌써 827개 팀을 사용자로 맞이했습니다. 디지털 기업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사용자 데이터 수집과 사용자 경험 관리 니즈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리서치 주요 고객인 마케팅은 물론 PM, UX 디자인, HR 등 다양한 직군이 고객과 사용자, 구성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쌓고 분석하고 관리해 나가려 합니다.
오픈서베이 팀은 웨비나를 통해서도 많은 고객과 만났습니다. ‘Eat Buy Play’를 주제로 한 트렌드 웨비나와 리서치 실무 및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인 오픈클래스까지, 어느 해보다 다채로웠던 2022년 오픈서베이 웨비나에 등록한 총 고객 수는 23,412명입니다. 직접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주요 역량으로 기대되는 시대이며 그 역량을 키우려는 의지를 가진 고객이 많아진 만큼 내년에는 온, 오프라인을 넘어 더욱 자주 만나 뵐 수 있길 기대합니다.
2023년 예정된 주요 프로덕트 업데이트

2023년에도 오픈서베이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덕트를 계속해서 고도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앞서가는 오픈서베이 고객들의 니즈와 오픈서베이 팀이 지난 10년간 쌓아온 리서치 노하우를 빠르게 기능으로 업데이트하는 한편, 오픈서베이와 피드백으로 수집한 데이터에 더해 고객사의 데이터 역시 한곳에 모아 분석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만들어 데이터의 가치를 더 크게 돌려드리려 합니다.
또 새롭게 업데이트된 기능들을 잘 활용하실 수 있도록 고객과 사용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빈도 역시 늘려가겠습니다. 그 첫걸음으로 2023년 오픈서베이와 피드백, 오픈애널리틱스에 추가될 주요 기능을 소개해 드립니다.
*소개 순서는 업데이트 일정 순은 아니며, 제품개발 우선순위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오픈서베이
-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기능을 통해 소비자의 의견과 피드백을 더 입체적이고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사진 응답 수집 기능을 모든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사진 이외에도 음성과 영상 파일 형태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게 될 예정입니다.
- 응답 화면에서 제시된 이미지에 대한 직관적인 평가 역시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게 됩니다. 응답자에게 제품 패키지나 앱 화면 이미지를 보여준 뒤 마음에 드는 부분이나 들지 않는 부분, 헷갈리는 부분 등을 터치해서 하이라이트하게 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 역시 물어볼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간단한 컨셉 평가부터 UX 리서치까지 다양한 조사에서 직접적인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UT(Usage Test)를 위한 기능 또한 새롭게 개발됩니다. 사용자가 앱에서 주어진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동안 자동으로 화면을 녹화하거나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 행태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으로, 관찰한 내용을 경험 평가 결과와 결합해서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피드백
- 자사 앱/홈페이지에서 피드백을 더욱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Embed 및 API 연동 기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고객 여정의 단계별·접점별로 In the moment 피드백을 받아 경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입·구매·사용 등 앱/홈페이지에서 일어나는 사용자 이벤트를 기반으로 설문을 발송하거나, 서비스에서 이탈하지 않고 설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인앱 설문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응답자에게 자사몰 리워드를 자동 지급하는 것 또한 가능해집니다. - 다국어 지원을 통해 글로벌 서비스에서도 드디어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피드백으로 해외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오픈애널리틱스를 통해 국가별 사용자 데이터를 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오픈애널리틱스
- 2023년 오픈애널리틱스는 모든 리서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거듭납니다. 오픈서베이와 피드백으로 수집한 데이터 이외에도 구글폼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엑셀로 보유한 데이터를 업로드해서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 머지않아 오픈애널리틱스에서 주관식 응답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Semi-automated 텍스트 분석 기능으로 응답자의 주관식 피드백에서 주요 키워드와 테마를 추출하고 정량화할 수 있게 됩니다.
- 변수 리코드와 데이터 클리닝 등 고급 분석 기능을 위해 오픈서베이 팀에 별도 요청하거나 SPSS를 꼭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2023년에는 변수 리코드와 데이터 클리닝 등 고급 사용자를 위한 기능이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오픈될 예정입니다.
- 오픈애널리틱스의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더욱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UI/UX 개선 및 업데이트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이 모든 기능은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오픈서베이는 고객의 소중한 데이터와 회원 정보를 더욱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보안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통합 회원 시스템 배포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인증을 진행해 나가려 합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 웨비나와 트렌드 웨비나 역시 계속해서 진행됩니다. 작년 시작된 ‘오픈클래스’의 뜨거운 열기가 23년에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업무에서 데이터를 마주치는 일이 더 이상 두렵지 않도록 도움이 되는 콘텐츠와 학습 방식을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올해 발간 10주년을 맞이하는 트렌드 리포트는 2014년 뷰티 트렌드 리포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160개가 발간되었습니다. 트렌드 리포트 역시 지금 제공되고 있는 방식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 데이터의 설계와 분석까지 심도 있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계획 중입니다.